미하일 아센 3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하일 아센 3세는 1323년부터 1330년까지 불가리아의 차르였다. 그는 비딘의 데스포트 시슈만의 아들로, 1323년 게오르기 테르테르 2세의 사망 후 불가리아의 황제로 선출되었다. 미하일 시슈만은 비잔티움 제국과의 전쟁에서 승리하고 평화 조약을 맺었으나, 세르비아와의 관계가 악화되어 1330년 벨버즈드 전투에서 패배하고 사망했다. 그의 죽음은 발칸 반도의 세력 균형에 영향을 미쳤으며, 불가리아는 마케도니아의 상당 부분을 세르비아에 빼앗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슈만 왕조 - 이반 시슈만
14세기 후반 불가리아의 차르였던 이반 시슈만은 이반 알렉산드르의 아들로, 왕위 계승 갈등과 오스만 제국의 침략에 맞선 통치, 그리고 불가리아 문화 부흥에 기여했으나 오스만 제국에 의해 살해당하며 불가리아 민족 부흥 운동의 영웅으로 재조명되었다. - 시슈만 왕조 - 이반 스테판
이반 스테판은 불가리아 제2제국의 차르로 즉위했으나, 어린 나이와 리더십 부족, 정치적 불안정으로 인해 짧은 재위 기간 동안 뚜렷한 업적 없이 쿠데타로 폐위되어 망명했다. - 1330년 사망 - 막시모스 플라누디스
막시모스 플라누디스는 13~14세기 비잔틴 제국의 학자이자 수도사이자 외교관으로, 서양 고전 번역, 고대 그리스 문학 연구, 그리고 르네상스 시대 고대 그리스 문학 연구에 영향을 미친 《그리스 선집》 편집 등에 기여했다. - 1330년 사망 - 바부샤 카툰
바부샤 카툰은 원 명종 쿠살라 칸의 정궁황후이자 원 영종 린첸발의 생모로, 남편 사후 불사를 주관했으나 암살 또는 처형당했다는 설이 있으며, 혜종 때 태묘에 부묘되었다. - 불가리아 제2제국 - 스밀레츠
스밀레츠는 13세기 후반 불가리아의 황제로, 노가이 칸의 지원으로 즉위하여 몽골의 영향력 아래 비잔틴 제국, 세르비아와 외교 관계를 맺었으며, 그의 이름은 남극의 스밀레츠 곶의 명칭으로 사용된다. - 불가리아 제2제국 - 이바일로
이바일로는 13세기 불가리아의 돼지치기 출신으로 몽골 침략에 대항하여 봉기를 일으켜 황제를 살해하고 불가리아를 점령했으나, 몽골군에게 죽음을 맞이한 인물이다.
미하일 아센 3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불가리아어) | 미하일 아센 3세 (Михаил Асен III, Mihail Asen III) |
다른 이름 (불가리아어) | 미하일 시슈만 (Михаил Шишман, Michael Shishman) |
통치 | |
칭호 | 불가리아 차르 |
재위 기간 | 1323년 – 1330년 |
대관식 | 알 수 없음 |
이전 통치자 | 게오르기 2세 |
다음 통치자 | 이반 스테판 |
가족 | |
배우자 | 안나 네다 테오도라 팔라이올로기나 |
자녀 | 이반 스테판 미하일 시슈만 로도비코 |
아버지 | 비딘의 시슈만 |
종교 및 출생 | |
종교 | 불가리아 정교회 |
왕가 | 시슈만 왕조 |
출생 시기 | 1280년 이후 |
출생 장소 | 알 수 없음 |
사망 및 매장 | |
사망일 | 1330년 7월 31일 |
사망 장소 | 벨바즈드 |
매장 장소 | 스타로 나고리차네의 성 게오르기 교회 |
2. 어린 시절
1280년에서 1292년 사이 비딘의 데스포트 시슈만의 아들로 태어났다.[85][84] 어머니는 세바스토크라토르 페타르와 이반 아센 2세의 딸 안나 테오도라 사이의 딸이다. 테오도르 스베토슬라프와 게오르기 2세 테르테르는 그의 먼 친척이다.
1292년 미하일 3세의 아버지 시쉬만이 세르비아 왕 스테판 우로시 2세 밀루틴과 화약을 맺은 후, 1298년 혹은 1299년에 미하일 3세는 밀루틴의 딸 안나 네다와 결혼하였다.[86][4][50]
게오르기 테르테르 2세의 급작스러운 죽음 이후,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안드로니코스 3세는 불가리아의 혼란을 틈타 1324년 북동부 트라키아를 점령하고 여러 주요 도시들을 장악했다. 동시에 비잔티움의 지원을 받는 보이실이 크런을 거점으로 세력을 확장했다.
1292년 아버지 시슈만이 세르비아 왕 스테판 우로시 2세 밀루틴과 평화 조약을 맺은 후, 1298년 혹은 1299년에 미하일 3세는 스테판 우로시 2세 밀루틴의 딸 안나 네다와 결혼하였다.[86][50]
13세기 중엽부터 비딘과 그 일대는 불가리아 제국에서 반쯤 독립된 상태가 되었고, Jacob Svetoslav|야코프 스베토슬라프영어 (1276년/77년) , 시슈만, 미하일 3세 등이 비딘을 지배했다. 시슈만 부자는 테오도르 스베토슬라프로부터 데스포트 지위를 받았고, 당시 베네치아 공화국의 사료에는 미하일 3세를 "불가리아의 데스포트, 비딘의 군주"라고 기록했다.[86][50]
3. 불가리아 황제 즉위
13세기 중엽부터 비딘과 그 일대는 강력한 불가리아인 영주의 통치하에 불가리아 제국에서 반쯤 독립된 상태가 되었고, Jacob Svetoslav|야코프 스베토슬라프영어(1276년/77년 몰), 시쉬만, 미하일 3세 등이 비딘을 지배했다. 시쉬만 부자는 토도르 스베토슬라프에게서 데스포트 지위를 수여받았고, 동시대 베네치아 사료는 미하일 3세를 "불가리아의 데스포트, 비딘의 군주"라고 불렀다.[86][4][50]
우로시 2세가 사망한 후, 미하일 3세는 불가리아 제국의 수도 타르노보에서 적극적으로 정치 활동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얼마 안 있어 미하일 3세는 궁정의 유력 귀족이 되었고, 1323년 젊은 게오르기 테르테르 2세가 자식 없이 사망하자, 귀족들이 미하일 3세를 황제로 옹립하였다.[87][5][51] 몇몇 역사가들은 미하일 3세가 귀족들에게 옹립된 것은 아센가의 혈통을 이어받았기 때문이며, 귀족들은 아센가를 대신할 새로운 왕조의 창시자를 선출할 의도는 없었다고 추측한다.[88][6][52]
미하일 3세의 황제 즉위 후, 그의 의붓형제 벨라우르가 비딘의 통치자 지위를 계승했다.[89][7]
4. 비잔티움 제국과의 관계
새 황제 미하일 3세는 안드로니코스 3세에 맞서 남쪽으로 진군하여 비잔티움 군을 퇴각시켰으나, 플로브디프는 비잔티움에 함락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하일 3세는 보이실을 몰아내고 1324년 비잔티움에 빼앗겼던 북부 및 북동부 트라키아 지역을 되찾았다.
1324년 미하일 3세는 비잔티움을 침공하여 트라야노폴리스와 마리차 강 하류의 비라까지 진군하였다. 수적으로 불리했던 안드로니코스 3세는 미하일 3세에게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결투를 제안했으나, 미하일 3세는 이를 거절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95][96]
> καὶ γὰρ ἂν ἐκεῖνος μαινολὶς εἴη, ὅστις σιδηροῦ θερμοῦ διὰ λαβίδος κρατεῖν δυνάμενος εἶτα ταύτης ἀφεὶς ταῖς χερσὶ γυμναῖς ἅπτοιτο.|카이 가르 안 에케이노스 마이놀리스 에이에, 호스티스 시데루 테르무 디아 라비도스 크라테인 뒤나메노스 에이타 타우테스 아페이스 타이스 케르시 귐나이스 합토이토.|집게를 사용하지 않고 자신의 손으로 뜨거운 쇠를 잡는 대장장이는 바보이다. 강대한 대군 대신 자신 자신의 신체를 위험에 빠뜨리는 짓을 한다면, 대장장이와 같은 바보로서 불가리아 국민의 웃음거리가 될 것이다.grc
미하일 3세는 안드로니코스 2세와 갈등 중이던 안드로니코스 3세를 돕겠다는 암시를 하며 협상을 약속하고 불가리아로 돌아갔다.[95]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불가리아와의 관계에 대한 회의가 열렸고, 불가리아 침공에 대한 징벌 요구에도 불구하고 협상이 결정되었다. 미하일 3세는 아내 안나 네다와 이혼하고 안드로니코스 3세의 누이인 테오도라 팔레올로기나와 결혼했다.[97] 이 결혼으로 불가리아와 비잔티움 제국의 평화 조약은 더욱 굳건해졌고, 플로브디프-체르노멘-소조폴 선이 국경으로 확정되었다.[98]
1327년 미하일 3세는 비잔티움 제국의 내전에 개입하여 안드로니코스 3세를 지원했고, 안드로니코스 2세는 세르비아의 지원을 받았다. 1328년에는 트라키아를 침공하여 비자 근교를 약탈했지만, 안드로니코스 3세가 오기 전에 퇴각하였다.[107] 결국 1328년 10월 아드리아노폴리스 앞에서 평화 조약이 갱신되었다. 이듬해 초 미하일 시슈만은 안드로니코스 3세에게 최종적인 조약과 새롭게 떠오르는 세르비아에 대한 군사적 협력을 협상하기 위해 회담을 요구하였고,[84] 소조폴과 안키알로스 사이의 크림니에서 "지속적인 평화와 영원한 동맹"을 체결하였다.[107]
4. 1. 비잔티움과의 전쟁 (1324년)
게오르기 테르테르 2세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짧은 혼란기를 야기했고,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안드로니코스 3세는 이 기회를 틈타 북동부 트라키아를 점령하고 얌볼, 라르데아, 크테니아, 루소카스트로, 안키알로, 소조폴, 아가토폴 등 주요 도시들을 장악했다.[90] 동시에 비잔티움의 지원을 받는, 전 황제 스밀레츠의 동생 보이실은 크런 지역에 자리를 잡고 슬리벤에서 코프시스에 이르는 발칸산맥과 스레드나고라산맥 사이의 계곡을 지배하였다.[90]
안드로니코스 3세의 군대가 필리포폴리스를 포위하는 동안, 새 황제 미하일 시슈만은 안드로니코스 3세에 대항하여 남쪽으로 진군하였다. 비잔티움은 5개의 공성 병기를 사용하고도 수비대장 러시아인 이반에게 막혀 필리포폴리스를 점령하지 못하였다.[90][91] 비잔티움군이 필리포폴리스에 묶여 있는 동안, 미하일 시슈만은 북동부 트라키아로 향해 빼앗긴 지역을 되찾았다.[90]
비록 미하일 시슈만은 안드로니코스 3세를 퇴각시켰으나, 비잔티움군은 불가리아가 수비 대장을 교체하는 동안 필리포폴리스를 점령해내었다.[92] 그 손실에도 불구하고, 미하일 시슈만은 보이실을 추방하고 1324년 비잔티움이 빼앗았던 북부 및 북동부 트라키아 지역을 되찾았다.[93] 1324년 미하일 시슈만은 비잔티움을 침공하여 트라야노폴리스와 마리차 강 하류의 비라까지 진군하였다.[94] 안드로니코스 3세는 수적으로 불리하여 불가리아군을 상대할 수 없었다. 안드로니코스 3세는 미하일 시슈만에게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결투를 신청하였고, 미하일 시슈만은 요한네스 6세 칸타쿠제노스에 의하면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95][96]
안드로니코스 3세는 이 대답과 함께 미하일 시슈만이 한 수 위라는 사실에 분노하였다. 하지만 미하일 시슈만은 안드로니코스 3세가 할아버지 안드로니코스 2세와 갈등 중이라는 것을 알고, 그는 자신이 안드로니코스 2세에 대항하여 안드로니코스 3세를 도울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하면서 차후에 협상을 약속하고 불가리아로 돌아갔다.[95]
4. 2. 평화 협정과 비잔티움 내전 개입 (1324년 ~ 1329년)
게오르기 테르테르 2세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불가리아에 짧은 혼란기를 가져왔고,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안드로니코스 3세는 이 기회를 틈타 불가리아를 공격했다. 비잔티움 제국은 북동부 트라키아를 점령하고 얌볼, 라르데아, 크테니아, 루소카스트로, 안키알로스, 소조폴, 아가토폴 등 주요 도시들을 점령했다. 동시에 비잔티움 제국의 지원을 받는, 전 불가리아 황제 스밀레츠의 동생 보이실은 크런 지역에 자리를 잡고 슬리벤에서 코프시스에 이르는 발칸산맥과 스레드나고라산맥 사이의 계곡을 지배하게 되었다.[90]
안드로니코스 3세의 군대가 플로브디프를 포위하는 동안, 새 황제 미하일 시슈만은 안드로니코스 3세에 대항하여 남쪽으로 진군하였다. 비잔티움 제국은 5개의 공성 병기를 사용하고도 러시아의 이반이 이끄는 수비대에 막혀 플로브디프 점령에 실패하였다.[90][91] 비잔티움군이 플로브디프에 묶여 있는 동안, 미하일 시슈만은 북동부 트라키아로 향해 빼앗긴 지역을 되찾았다.[90]
비록 미하일 시슈만은 안드로니코스 3세를 퇴각시켰으나, 비잔티움군은 불가리아가 수비 대장을 교체하는 동안 플로브디프를 점령해내었다.[92] 그 손실에도 불구하고, 미하일 시슈만은 보이실을 추방하고 1324년 비잔티움 제국이 빼앗았던 북부 및 북동부 트라키아 지역을 되찾았다.[93] 1324년 미하일 시슈만은 비잔티움 제국을 침공하여 트라야노폴리스와 마리차강 하류의 비라까지 진군하였다.[94] 안드로니코스 3세는 수적으로 불리하여 불가리아군을 상대할 수 없었다. 안드로니코스 3세는 미하일 시슈만에게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결투를 제안하였고, 미하일 시슈만은 요한 칸타쿠제노스의 기록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답하였다.[95][96]
안드로니코스 3세는 이 대답과 함께 미하일 시슈만이 자신을 속였다는 사실에 분노하였다. 하지만 미하일 시슈만은 안드로니코스 3세가 할아버지 안드로니코스 2세와 갈등 중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고, 그는 자신이 안드로니코스 2세에 대항하여 안드로니코스 3세를 도울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하면서 차후에 협상을 약속하고 불가리아로 돌아갔다.[95]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불가리아와의 관계에 대해 열린 회의에서 불가리아의 침공에 대한 징벌 요구에도 불구하고, 두 나라 사이의 협상이 결정되었다. 미하일 시슈만은 아내 안나 네다와 이혼하고 황제 테오도르 스베토슬라프의 미망인이자 안드로니코스 3세의 누나인 테오도라 팔레올로기나와 결혼했다.[97] 이 행동의 이유는 불확실하나, 많은 역사학자들은 세르비아가 마케도니아로 확장하면서 불가리아와 세르비아의 관계가 악화되었기 때문이라고 추정한다.[98][99] 그 결혼은 불가리아와 비잔티움 제국의 평화 조약을 굳건하게 만들었지만, 세르비아에 대한 동맹의 필요는 미하일 시슈만으로 하여금 양보를 하게 만들었다. 플로브디프-체르노멘-소조폴 선이 국경으로 결정되었다.[98] 1324년 가을 조약이 체결되었고, 미하일 시슈만은 그 후 몇 년간 이웃 국가들과 평화를 유지했다.[98][100]
1327년 미하일 시슈만은 비잔티움 제국의 내전에 개입하여 안드로니코스 3세의 편에 섰고, 안드로니코스 2세는 세르비아의 지원을 받았다. 안드로니코스 3세와 미하일 시슈만은 디모티카의 니케포로스 그레고라스에 의하면[101] 5월 13일 체르노멘에서 만나 세르비아에 대한 동맹을 체결했다. 안드로니코스 3세는 그가 단독 황제가 되는 조건으로 불가리아에 몇몇 마을과 많은 돈을 약속했다.[102] 이 동맹을 기초로 안드로니코스 3세는 마케도니아를 점령하였지만, 이는 비잔티움 제국의 계속되는 갈등을 유지하고자 한 미하일 시슈만을 안드로니코스 2세와 협상하게 만들었고, 미하일 시슈만은 군사 지원을 조건으로 돈과 국경선의 양보를 얻어냈다.[103] 미하일 시슈만은 러시아의 이반이 이끄는 3천 명의 기병을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보냈으나, 그의 목적은 늙은 황제와 콘스탄티노폴리스를 함락시키는 것이었다.[104][105] 안드로니코스 3세의 경고를 받은 안드로니코스 2세는 불가리아군을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접근하지 못하게 하였다. 미하일 시슈만은 자신의 계획이 들통난 것을 알아차린 후 이반에게 편지를 보내 퇴각할 것을 명령하였다.[106]
안드로니코스 3세가 그의 할아버지에게 승리한 후, 미하일 시슈만은 몇몇 지역을 무력으로 병합하고자 하였다. 그는 1328년 6월 트라키아를 침공해 비자 근교를 약탈하였지만 안드로니코스 3세가 오기 전에 퇴각하였다.[107] 결국 60일 후인 1328년 10월 아드리아노폴리스 앞에서 싸움 없이 평화 조약의 갱신으로 끝났다. 이듬해 초 미하일 시슈만은 안드로니코스 3세에게 최종적인 조약과 새롭게 떠오르는 세르비아에 대한 군사적 협력을 협상하기 위해 회담을 요구하였다.[84] 소조폴과 안키알로스 사이의 크림니라고 알려진 곳 인근에서 둘은 "지속적인 평화와 영원한 동맹"을 체결하였다.[107]
5. 세르비아와의 관계
1292년 시슈만 비딘과 세르비아의 스테판 우로시 2세 밀루틴 사이에 평화 조약이 체결된 후, 미하일 시슈만은 밀루틴의 딸 안나 네다와 약혼했고, 1298년 또는 1299년에 결혼했다.[86]
우로시 2세가 사망한 후, 미하일 시슈만은 불가리아 중앙 정부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323년 게오르기 테르테르 2세가 후사 없이 사망하자 불가리아 귀족들은 미하일 시슈만을 황제로 추대했다.[87] 몇몇 역사가들은 미하일 시슈만이 아센 왕가의 후손이었기 때문에 황제로 선택되었고, 그의 즉위는 아센 왕가의 연속으로 이어진다고 설명한다.[88]
그러나 1324년 미하일 시슈만과 안나 네다의 이혼으로 불가리아와 세르비아의 관계는 악화되었다.
5. 1. 관계 악화 (1324년 ~ 1329년)
1324년 안나 네다와 이혼하면서 14세기 초까지 화목했던 불가리아와 세르비아의 관계는 악화되었다.[108] 안나 네다는 아들들과 함께 터르노보를 떠나 오빠인 세르비아 왕 스테판 우로시 3세 데찬스키에게 갔다. 스테판 블라디슬라프 2세와 전쟁 중이었던 데찬스키는 미하일 시슈만과 적대할 처지가 아니었다.[97] 미하일 시슈만은 스테판 블라디슬라프를 세르비아 왕으로 인정했으나 그에 대한 지원은 충분하지 못했다. 1324년 봄, 데찬스키는 훗날 세르비아 대주교가 되는 다닐로 2세를 터르노보로 보내 미하일 시슈만과 협상을 시도했으나 결론을 보지 못하였다.[101] 비잔티움 제국 내전에서 불가리아는 안드로니코스 3세를, 세르비아는 안드로니코스 2세를 지원하면서 두 나라는 다시 한번 반목하였다.[97][109][110]1329년 안드로니코스 3세와 조약을 맺은 후 미하일 시슈만이 세르비아를 공격할 준비를 하는 동안 세르비아는 오흐리드 주위를 약탈하였다. 세르비아 연대기에 따르면 미하일 시슈만은 거만하게 세르비아 왕에게 복종을 요구하면서 자신의 왕좌를 세르비아 땅 한복판에 세울 것이라고 위협하였다.[111]
5. 2. 벨버즈드 전투 (1330년)
1324년 안나 네다와의 이혼으로 14세기 초까지 우호적이었던 불가리아와 세르비아의 관계는 악화되었다.[108] 안나 네다는 아들들과 함께 터르노보를 떠나 오빠인 세르비아의 스테판 데찬스키에게 피신했다.[16] 1329년 동로마와 동맹을 맺은 후 세르비아군이 오흐리드를 약탈하자, 미하일 3세는 원정을 준비했다. 세르비아 연대기에 따르면, 미하일 3세는 우로시 3세에게 복종을 강요하며 "세르비아의 중심에 내 옥좌를 두겠다"고 협박했다.[76]1330년, 남쪽에서 세르비아로 진군하는 안드로니코스 3세의 군대와 합류하기 위해 미하일 3세는 왈라키아, 몰다비아 등 동맹국 군대를 포함한 15,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원정을 떠났다.[76] 미하일 3세는 먼저 비딘으로 향했는데, 많은 역사가들은 그가 비딘으로 간 이유가 형제 벨라우르의 군대와 합류하기 위해서라고 추정한다.[77] 그러나 불가리아군과 동로마군의 연계는 원활하지 못했고, 벨버즈드(현재의 큐스텐딜) 근교에서 15,000명의 세르비아군과 마주쳤다.[78] 양측 모두 원군 도착을 기다리며 미하일 3세와 우로시 3세는 회담을 통해 1일간 휴전에 합의했다. 휴전 협정 후, 미하일 3세는 군대를 분산시켜 부족한 식량을 찾도록 했다.
그러나 1330년 7월 28일 아침, 세르비아군 본대에 왕자 스테판 두샨이 이끄는 카탈루냐 기병대가 합류하자, 세르비아군은 협정을 깨고 불가리아군을 공격했다.[79] 기습 공격에도 불구하고 미하일 3세는 군대 질서를 회복하려 했으나 이미 늦었고, 전투는 세르비아의 승리로 끝났다.[76]
이 전투 결과, 불가리아는 영토를 잃지 않았지만 발칸 반도의 새로운 세력 구도가 형성되었고, 세르비아는 마케도니아 대부분을 장악했다.[80]

6. 죽음과 유산
미하일 시슈만의 죽음을 둘러싼 정황은 명확하지 않다.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이자 역사가인 요한네스 칸타쿠제노스는 미하일 시슈만이 전투에서 치명적인 상처를 입고 곧 사망하였다고 하지만[113] 다른 비잔티움 역사가는 3일간 의식을 되찾지 못한 채 살아있었고 4일째에 사망하였다고 한다.[115] 세르비아의 연대기들은 전투 도중 그는 말에서 떨어지면서 말에게 짓밟혔다고 하며, 데찬스키가 그의 시신을 보고 애도하였지만 그는 전쟁이 아닌 평화를 원했다고 지적한다.[116] 15세기 초 불가리아의 수도사 그레고리 참블라크는 미하일 시슈만은 스테판 우로시 4세 두샨에게 사로잡힌 후 살해당했다고 하였다.[116] 그는 스타로나고리차네의 성 게오르기 교회에 묻혔다.[117]
미하일 시슈만은 허영심이 강하고 호전적이고 기회주의적인 통치자였고 그의 변화무쌍한 대외 정책은 그가 전투 중에 죽는데 기여하였다. 동시에 그는 분명 단호하고 정력적이었고, 그가 제위를 계승하는 동안 상실했던 영토를 모두 되찾았으며, 그의 짧은 치세 동안 불가리아의 내부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고자 노력하였다. 안드레에프는 그를 14세기 통치자 중 가장 주목할만한 인물로 보았다.[116] 요한네스 칸타쿠제노스에 의하면 그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도나우 강까지 확장하고자 하였고[99][102] 그는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점령하고자 했던 마지막 중세 불가리아 통치자가 되었다. 또한 그는 마케도니아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정책을 펼치고자 했다. 미하일 시슈만의 문장은 1999년과 2005년에 발행된 불가리아의 2 레바 뒷면에 나와 있다.[118]
7. 가족
미하일 시슈만은 1280년[85]에서 1292년[84] 사이에 비딘의 데스포트 시슈만과 이반 아센 2세의 딸 안나와 세바스토크라토르 페터르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1292년 그의 아버지 시슈만과 세르비아의 스테판 우로시 2세 밀루틴이 평화 조약을 맺은 후 미하일 시슈만은 밀루틴의 딸 안나 네다와 약혼하였고 1298년 혹은 1299년 그들은 결혼하였다.[86]
미하일 시슈만은 처음에는 세르비아 왕 스테판 우로쉬 2세 밀루틴의 딸인 세르비아의 아나와 결혼했다. 이 결혼으로 그는 여러 자녀를 두었다.[41] 미하일 시슈만은 비잔티움의 미하일 9세 팔레올로고스의 딸인 테오도라 팔레올로기나와 두 번째 결혼을 하여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여러 자녀를 두었다.[46]
배우자 | 자녀 |
---|---|
안나 네다 | |
테오도라 팔레올로기나 |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여러 자녀 |
참조
[1]
서적
Michael III Šišman
[2]
서적
[3]
서적
1985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간행물
Historia by John Kantakouzenos
[10]
간행물
Historia by John Kantakouzenos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간행물
Historia by John Kantakouzenos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문서
Павлов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간행물
Historia by John Kantakouzenos
[35]
서적
[36]
서적
Андреев
[37]
서적
Андреев
[38]
서적
Божилов, Гюзелев
[39]
서적
Божилов, Гюзелев
[40]
웹사이트
Bulgarian National Bank
http://www.bnb.bg
2009-03-26
[41]
서적
Božilov
1985
[42]
웹사이트
Rulers of Vidin
https://web.archive.[...]
2011-04-08
[43]
서적
Božilov
1985
[44]
서적
Božilov
1985
[45]
서적
Božilov
1985
[46]
서적
Nikolov-Zikov
2021
[47]
서적
Historia by John Kantakouzenos
[48]
서적
Kazhdan, "Michael III Šišman"
[49]
서적
Андреев
[50]
서적
Fine
[51]
서적
Fine
[52]
서적
Божилов, Гюзелев
[53]
서적
Андреев
[54]
서적
Historia by John Kantakouzenos
[55]
서적
Historia by John Kantakouzenos
[56]
서적
Божилов, Гюзелев
[57]
서적
Андреев
[58]
서적
Fine
[59]
서적
Андреев
[60]
서적
Божилов, Гюзелев
[61]
서적
Божилов, Гюзелев
[62]
서적
ブルガリア 風土と歴史
恒文社
1981
[63]
서적
ビザンツ帝国史
東海大学出版会
1999-02
[64]
서적
Андреев
[65]
서적
Андреев
[66]
서적
Jireček
[67]
문서
Павлов
[68]
서적
Андреев
[69]
서적
Андреев
[70]
서적
Fine
[71]
서적
Божилов, Гюзелев
[72]
서적
Андреев
[73]
서적
Божилов, Гюзелев
[74]
서적
Андреев
[75]
서적
Gregory
[76]
서적
Андреев
[77]
서적
Божилов, Гюзелев
[78]
서적
Fine
[79]
서적
Historia by John Kantakouzenos
[80]
서적
Fine
[81]
서적
Божилов, Гюзелев
[82]
서적
Андреев
[83]
웹사이트
Rulers of Vidin
http://vidin-info.hi[...]
2011-04-08
[84]
서적
Kazhdan
[85]
서적
Андреев
[86]
서적
Fine
[87]
서적
Fine
[88]
서적
Божилов, Гюзелев
[89]
서적
Fine
[90]
서적
Андреев
[91]
서적
Historia by John Kantakouzenos
[92]
서적
Historia by John Kantakouzenos
[93]
서적
Божилов, Гюзелев
[94]
서적
Андреев
[95]
서적
Андреев
[96]
서적
Historia by John Kantakouzenos
[97]
서적
Fine
[98]
서적
Андреев
[99]
서적
Божилов, Гюзелев
[100]
서적
Божилов, Гюзелев
[101]
서적
Божилов, Гюзелев
[102]
서적
Андреев
[103]
서적
Андреев
[104]
서적
Jireček
[105]
문서
Павлов
[106]
서적
Андреев
[107]
서적
Андреев
[108]
서적
Андреев
[109]
서적
Андреев
[110]
서적
Gregory
[111]
서적
Андреев
[112]
서적
Fine
[113]
서적
Historia by John Kantakouzenos
Bulgarian Academy of Sciences, Sofia
[114]
서적
Fine
[115]
서적
Андреев
[116]
서적
Андреев
[117]
서적
Божилов, Гюзелев
[118]
웹사이트
Bulgarian National Bank - Notes and Coins in Circulation
http://www.bnb.bg
2009-03-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